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국가교통체계 혁신기술개발사업 기획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연구기획사업 과제번호 19RDPP-C154851-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국토정책 계획 | 교통계획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건설 교통 | 국토정책 계획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국토정책 계획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기초
과제명 국가교통체계 혁신기술개발사업 기획
주관연구기관 (사단)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손승녀
소속 (사단)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직위 실장
전화번호 031-478-0400 FAX 031-478-0490
총 연구기간 2019-11-01 ~ 2020-10-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9-11-01 ~ 2020-10-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200,000,000 0 0 0 20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R&D 사업 일몰제 시행
○ 2021년까지 기존 사업을 사실상 종료시키고 신규 사업 기획 후 예산 반영 추진
○ R&D 사업 일몰제의 본격 시행으로, 신규과제를 수시 발굴하는 구조에서 사업단위 기획 및 타당성검증 후 투자하는 방식으로 변화
○ 교통물류 분야에서 기존 추진하던 “교통물류사업”도 정부 R&D사업 추진 방식의 변화로 인해 `21년 일몰 예정인바 신규 사업의 기획·발굴 필요
- 교통물류연구사업은 모두가 누리는 안전하고 쾌적한 교통환경을 목표로 5대 중점분야(사고없는 안전교통, 막힘없는 첨단교통, 공해없는 청정교통, 차별없는 복지교통, 단절없는 물류교통) 추진

□ 그 간의 노력 (교통분야 예비타당성 조사 추진 경위 및 성패)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서는 `16년 하반기 박근혜정부의 국가전략프로젝트로 선정된 ‘세계선도형 스마트시티 연구개발 사업(국토부주관)’과 ‘자율주행 산업융합 혁신사업(산업부주관)’에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하였으나 스마트시티 연구개발 사업만 통과
○ 2017년 하반기 국토부는 ‘자율협력주행기반 국가교통체계 혁신사업’의 예타를 신청하였으나 기술성평가에서 탈락
○ 2019년 상반기 산업부, 과기부, 국토부는 자율주행 산업 육성을 목표로 범부처 사업인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예타를 신청하여 현재 기술성 평가 진행 중
최종목표 ○ 본 기획연구는 `19년 2차 예타 대상 선정(기술성 평가)에서 부적합을 받은 ‘도시내 입체적 이동을 위한 스마트 교통체계 기술개발 사업’의 전면 재기획을 목적의 추진 기획연구로써, 기획연구를 통한 예타 통과가 최종 목표임
- 4차 산업혁명 변화에 대응하여 다양한 운송방식, 인프라, 서비스 기술을 혁신적으로 융·복합하여 모빌리티 최적화(Door to Door, 시간·비용 최소화) 실현과 국가교통체계 혁신기술개발사업 기획을 통한 교통 분야 신규사업 예타 신청('20년)
연구내용 및 범위 ① 시장, 기술, 특허, 정책 등 동향분석 방안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발전에 따라 산업구조 사회 기반 변화에 따른 교통체계의 문제/이슈제기, 기술수준 분석 및 대응 기술로드맵 전략 수립 등을 위하여 정책, 기술, 시장, 특허 동향 분석
- 4차 산업혁명에 변화하는 도로, 교통, 통신, 수단, 시설 등 시장, 기술, 특허, 정책 및 표준화 동향분석은 문헌 조사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수행하며, 국가교통체계 혁신기술개발사업 기획의 미래전망 및 발전방향 제시와 문제/이슈 도출에 활용

② 기술수요조사 및 핵심요소기술 도출
- 미래 교통환경변화 및 미래전망 분석을 통해 Top-Down 방식의 전략분야를 도출하고, 전문가그룹 기술 수요조사, 기술분류 및 우선순위 선정, 핵심기술 도출
- 기술개발 미래상을 도출을 통한 전략분야 도출
-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공유기반 교통서비스 패러다임 변화 대응 등 미래기술에 대응하고 사회 현안 해소를 위한 교통분야 중점추진 전략분야 도출
- 전략분야 도출을 위해 SWOT분석 실시하여 추진 분야를 도출하고, 해당분야 기술발전을 통해 궁극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핵심 서비스를 형상화
- 기획자문위원회로부터 도출된 중점분야 기술수요(Needs)를 기반으로 핵심기술 및 세부기술 사업을 도출하기 위해 외분전문가 그룹에 기술 수요 조사 실시
- 기술수요조사 실시를 통해 수집된 요소기술 Pool 기반으로 중복성을 제거하고, 기술중요도, 시급성, 전략적 개발중요도 등을 검토하여 핵심 요소기술 도출
- 선정된 요소기술의 그룹화, 레벨링을 통해 전략분야별 핵심 요소기술 분류체계도를 작성하여 후보과제 도출
- 정량화된 요소기술 중요도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AHP분석을 통해요소기술별 중요도 평가를 수행하여 후보과제 우선순위 선정
- 기능구성적 관점에서 기술수준 조사대상의 기술분류체계도를 작성하고 중점기술개발과제, 핵심기술과제, 요소기술로 분류
-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부여, 평가모형 개발(점수제 모형, 전문가 설문조사 활용)을 통해 평가기준 도출
- 예비설문 및 샘플분석, 본 설문으로 기술수준을 평가하고 결과정리를 통해 기술개발 추진방향 및 전략 도출
- 사업추진을 위한 과제구성 및 기술로드맵 제시
- 우선순위 선정결과에 따라 요소기술 분류체계를 재구성하고, 동일 목적과 레벨의 요소기술들로 세부/세세부 과제로 구성

③ 기존사업과의 차별성 및 연계성 검토
○ 기존사업에 대한 차별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수행 세부지침(KISTEP, 2019)에 의거 수행
○ 본 기획의 사업 분야와 업무 연관성을 갖는 정부부처(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경찰청)의 주요 사업 중, 환승인프라, 인공지능 교통운영, 빅데이터, 공유플랫폼, 실증 등 기획사업의 키워드와 관련성이 높은 주요 사업을 선별하여 중복성 검토를 통한 차별성 및 연계·협력방안 제시

④ 사업추진체계 및 확보전략
○ 국가교통체계 혁신기술개발사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성과목표와의 관련성, 핵심성을 고려하여 성과지표를 설정하고 분야별 사업의 목표치를 설정함
○ 세부과제 우선수위 및 로드맵 구성에 따른 성과지표 설정을 위하여 사업분석, 사업유형, 성과목표에 따라 투입, 과정 산출, 단/중/장기 성과를 설정함

⑤ 소요예산 수립
○ 국가혁신개발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의 비용을 추정하기 위하여 비용분류체계, 비용추정결과 제시, 물량규모 확정, 비용추정 분류체계 원칙을 준수하여 사업별 소요예산을 산출함
○ 사업비 산출을 위해서는 연구기간, 연구시설, 장비시설, 투입인력 등을 분석하여 비용의 추정 접근 방식(상향식, 하향식)을 제시함

⑥ 타당성 및 기대효과분석
○ 예비타당성 주요 검토 항목은 크게 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 분석 등 세 가지 주요 분야로 분류
○ 사업구성 및 내용 구체성, 사업기획 과정의 적절성, 국가정책 및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경제적 효과 등의 종합적인 타당성 검증

⑦ 전문가 그룹 구성 및 운영
○ 연구성과와 산업간 연결고리 강화 및 산업 생태계 고도화를 위해 전문성, 포괄성, 균형성을 고려한 전문가 집단 구성을 통한 폭넓은 의견 수렴 실시

⑧ 예타신청 및 대응
○ 예비타당성 조사 대응 지원을 위해서 사업기획 보고서를 작성하고 가이드라인에 따라 대상사업에 대한 적부(適否)를 사전에 분석함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 본 기획연구는 `19년 2차 예타 대상 선정(기술성 평가)에서 부적합을 받은 ‘도시내 입체적 이동을 위한 스마트 교통체계 기술개발 사업’의 전면 재기획을 목적으로 추진하는 기획연구로써, 기획연구를 통한 예타 통과가 최종 목표임
☞ 4차 산업혁명 변화에 대응하여 다양한 운송방식, 인프라, 서비스 기술을 혁신적으로 융·복합하여 모빌리티 최적화(Door to Door, 시간·비용 최소화) 실현을 위한 국가교통체계 혁신기술개발사업 기획을 통한 교통 분야 신규사업 예타 신청(2020년)
① 시장, 기술, 특허, 정책 등 동향분석 방안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발전에 따라 산업구조 사회 기반 변화에 따른 교통체계의 문제/이슈제기, 기술수준 분석 및 대응 기술로드맵 전략 수립 등을 위하여 정책, 기술, 시장, 특허 동향 분석
- 4차 산업혁명에 변화하는 도로, 교통, 통신, 수단, 시설 등 시장, 기술, 특허, 정책 및 표준화 동향분석은 문헌 조사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수행하며, 국가교통체계 혁신기술개발사업 기획의 미래전망 및 발전방향 제시와 문제/이슈 도출에 활용

② 기술수요조사 및 핵심요소기술 도출
- 미래 교통환경변화 및 미래전망 분석을 통해 Top-Down 방식의 전략분야를 도출하고, 전문가그룹 기술 수요조사, 기술분류 및 우선순위 선정, 핵심기술 도출
- 기술개발 미래상을 도출을 통한 전략분야 도출
-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공유기반 교통서비스 패러다임 변화 대응 등 미래기술에 대응하고 사회 현안 해소를 위한 교통분야 중점추진 전략분야 도출
- 전략분야 도출을 위해 SWOT분석 실시하여 추진 분야를 도출하고, 해당분야 기술발전을 통해 궁극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핵심 서비스를 형상화
- 기획자문위원회로부터 도출된 중점분야 기반 기술수요(Needs)를 기반으로 핵심기술 및 세부기술 사업을 도출하기 위해 외분전문가 그룹에 기술 수요 조사 실시
- 기술수요조사 실시를 통해 수집된 요소기술 Pool을 기반으로 중복성을 제거하고, 기술중요도, 시급성, 전략적 개발중요도 등을 검토하여 핵심 요소기술 도출
- 선정된 요소기술을 그룹화, 레벨링을 통해 전략분야별 핵심 요소기술 분류체계도를 작성하여 후보과제 도출
- 정량화된 요소기술 중요도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AHP분석을 통해요소기술별 중요도 평가를 수행 하여 후보과제 우선순위 선정
- 기능구성적 관점에서 기술수준 조사대상의 기술분류체계도를 작성하고 중점기술개발과제, 핵심기술과제, 요소기술로 분류
-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부여, 평가모형 개발(점수제 모형, 전문가 설문조사 활용)을 통해 평가기준 도출
- 예비설문 및 샘플분석, 본 설문을 통해 기술수준을 평가하고 결과정리를 통해 기술개발 추진방향 및 전략 도출
- 사업추진을 위한 과제구성 및 기술로드맵 제시
- 우선순위 선정결과에 따라 요소기술 분류체계를 재구성하고, 동일 목적과 레벨의 요소기술들로 세부/세세부 과제로 구성

③ 기존사업과의 차별성 및 연계성 검토
○ 기존사업에 대한 차별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수행 세부지침(KISTEP, 2019)에 의거 수행
○ 본 기획의 사업 분야와 업무 연관성을 갖는 정부부처(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경찰청)의 주요 사업 중, 환승인프라, 인공지능 교통운영, 빅데이터, 공유플랫폼, 실증 등 기획사업의 키워드와 관련성이 높은 주요 사업을 선별하여 중복성 검토를 통한 차별성 및 연계·협력방안 제시

④ 사업추진체계 및 확보전략
○ 국가교통체계 혁신기술개발사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성과목표와의 관련성, 핵심성을 고려하여 성과지표를 설정하고 분야별 사업의 목표치를 설정함
○ 세부과제 우선수위 및 로드맵 구성에 따른 성과지표 설정을 위하여 사업분석, 사업유형, 성과목표에 따라 투입, 과정 산출, 단/중/장기 성과를 설정함

⑤ 소요예산 수립
○ 국가혁신개발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의 비용을 추정하기 위하여 비용분류체계, 비용추정결과 제시, 물량규모 확정, 비용추정 분류체계 원칙을 준수하여 사업별 소요예산을 산출함
○ 사업비 산출을 위해서는 연구기간, 연구시설, 장비시설, 투입인력 등을 분석하여 비용의 추정 접근 방식(상향식, 하향식)을 제시함

⑥ 타당성 및 기대효과분석
○ 예비타당성 주요 검토 항목은 크게 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 분석 등 세 가지 주요 분야로 분류
○ 사업구성 및 내용 구체성, 사업기획 과정의 적절성, 국가정책 및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경제적 효과 등의 종합적인 타당성 검증

⑦ 전문가 그룹 구성 및 운영
○ 연구성과와 산업간 연결고리 강화 및 산업 생태계 고도화를 위해 전문성, 포괄성, 균형성을 고려한 전문가 집단 구성을 통한 폭넓은 의견 수렴 실시

⑧ 예타신청 및 대응
○ 예비타당성 조사 대응 지원을 위해서 사업기획 보고서를 작성하고 가이드라인에 따라 대상사업에 대한 적부(適否)를 사전에 분석함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중점추진분야 도출, 사업추진체계 도출, 과제제안요구서
○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용 기획연구보고서
○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서
○ 예비타당성조사 대응 관련 작성 자료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통합모빌리티 개발로 끊김없고 대기없는 이동을 실현하고 개인이 아닌 공유교통으로 유도함에 따라 교통사고 감소, 혼잡비용 감소, 온실가스 감소 등 쾌적한 사회 구현에 기여
○ 교통분야 신사업 분야 개척을 통해 해외진출의 기반을 마련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국제적 경쟁력 및 주도권 확보
활용방안 ○ 국토교통체계 혁신기술개발 핵심사업의 사전 사업 타당성 분석으로 추진 논리 대응자료 확보 및 관련 기술 융복합 신시장, 신사업 투자 확대 기대
○ 새로운 미래교통기술 개발에 따라 국민의 생활편익 증진, 고용증대, 사업기회 창출 등을 통한 국가경쟁력 향상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국가교통체계 4차 산업혁명 스마트 모빌리티 로드맵 예비타당성조사
영문 National Transportation System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Mobility Roadmap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붙임1] 「국가교통체계 혁신기술개발사업 기획」 최종보고서(보완본).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