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철도차량을 위한 고효율(97%이상) 추진전력변환장치(DC-DC 컨버터) 핵심기술 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과제번호 21CTAP-C157056-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통신 | None | None 적용분야 제조업(전기 및 기계장비)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기초
과제명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철도차량을 위한 고효율(97%이상) 추진전력변환장치(DC-DC 컨버터) 핵심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이재범
소속 국립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직위 교수
기관 대표번호 031-460-0640 FAX 031-462-8807
총 연구기간 2020-04-13 ~ 2021-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1-01-01 ~ 2021-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210,000,000 0 0 0 21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1)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 전 세계적으로 탄소배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일례로 UN주도로 세계 140여국의 정상들이 모인 제 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15.11)에는 기존 기후변화 대응방식이었던 교토의정서(‘97.12)보다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계획(합의안)을 발표함 (※ 한국의 경우,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 대비 37%의 탄소배출감축안을 발표함)
○ 수소연료전지는 기존 에너지 효율이 30%인 내연기관보다 높은 50% 이상의 효율을 갖고 소음이 적어, 다른 신재생 에너지원에 비해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음
○ 수소연료전지는 높은 가격으로 인해 견인전동기 구동을 위한 인버터의 높은 DC 전압을 직접 공급하기 어려우므로, 낮은 전압을 갖는 수소연료전지와 인버터 사이에 승압형 DC-DC 컨버터가 필요함
○ [승압형 DC-DC 컨버터 요구사항] 1) 가선 방식의 기존 철도차량과 달리 차량에 탑재 된 수소연료전지로 인해 더욱 제한된 공간과 중량이 요구됨, 2)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고효율에 적합한 승압형 DC/DC 컨버터가 요구됨, 3) 부하조건에 따른 수소연료전지의 넓은 전압 범위로 인해 넓은 입·출력 이득이 요구됨
○ [기존 비절연 승압형 DC-DC 컨버터] 1) 부스트 컨버터는 입력전류가 연속적이고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느린 동특성과 제한된 공간을 갖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에 적합함, 2) PWM 제어 방식에 의해 넓은 입·출력 이득을 가짐, 3) 하지만 부스트 컨버터는 소자의 영전압/영전류 스위칭을 성취할 수 없어, 턴-온/오프 스위칭 손실과 역회복 손실이 발생함, 4) 특히 200kW급 수소연료전지 기반 철도차량은 높은 전류사양으로, 스위칭 손실과 역회복 손실이 매우 커서 스위칭 주파수를 올리는데 더욱 한계를 가짐, 5) 낮은 스위칭 주파수는 부스트 컨버터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리액터와 커패시터의 부피증가를 의미함
○ [기존 절연 승압형 DC-DC 컨버터] 1) 단일 단 공진형 LLC 컨버터는 출력 인덕터가 없는 간단한 구조로, 제한된 공간을 갖는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에 적합함, 2) 소자의 영전압/영전류 스위칭을 성취할 수 있어, 턴-온/오프 스위칭 손실과 역회복 손실이 거의 없음, 3) 따라서 높은 효율을 유지하며 고주파 구동이 가능하여 공진형 LLC 컨버터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변압기와 출력 커패시터의 부피를 크게 저감할 수 있음, 4) 하지만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추진전력변환장치에 적용 시 ‘높은 전력, 낮은 입력 전압, 높은 출력 전압 사양’으로 인해 아래의 문제점이 발생함
문제점 1] 높은 전력 및 낮은 입력 전압 사양 : 높은 입력 전류로 1차 측 소자의 도통 및 스위칭 손실 증가
문제점 2] 높은 출력 전압 사양 : 2차 측 소자의 높은 전압스트레스로 역회복 손실 증가
문제점 3] 높은 전력 사양 : 전력 사양에 비례하는 높은 Q 인자로 인해 입·출력 전압 이득이 공진 점에서 최대이므로, 전체 입·출력 전압 범위에서 Above 영역으로 동작하여 고효율 설계가 어려움
○ 이러한 한계점으로 인해 단일 단 공진형 LLC 컨버터는 철도차량의 대용량 추진전력변환장치에 적용되기 어려우므로, 현재 낮은 효율을 갖는 부스트 컨버터가 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임

2) (제안)병렬입력-직렬출력 구조의 고효율·경량화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개념
○ 병렬입력 구조: 높은 전력 및 낮은 입력 전압 사양으로 인한 높은 입력 전류를 ‘다중 병렬입력 구조’에 의해 단일 모듈이 감당하는 입력 전류 감소 → 1차 측 소자의 도통 및 스위칭 손실 감소 (※ 대용량 단일 단 공진형 LLC 컨버터의 ‘문제점 1’ 해결)
○ 직렬출력 구조: 높은 출력 전압 사양으로 인한 2차 측 소자의 높은 전압스트레스를 ‘다중 직렬출력 구조’에 의해 2차 측 소자의 전압스트레스 감소 → 역회복 특성이 우수한 낮은 내압의 소자 선정을 통해 역회복 손실 감소 (※ 대용량 단일 단 공진형 LLC 컨버터의 ‘문제점 2’ 해결)
○ 다중모듈 구조: ‘다중모듈 구조’에 의해 단일 모듈이 감당하는 전력 감소 → 전력 사양에 비례하는 낮은 Q인자로 인해 Below 영역으로 동작하여 고효율 설계가 가능 (※ 대용량 단일 단 공진형 LLC 컨버터의 ‘문제점 3’ 해결)
○ 주파수·시비율 혼합 제어: 제안하는 병렬입력-직렬출력 구조의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는 단일 모듈이 여러 개로 구성 된 다중 모듈 구조이므로, 제작 공정 시 모듈 당 소자 간 편차가 발생하고 이는 단일 모듈의 입·출력 전압 이득, 소자의 전압·전류 스트레스 등에 불평형을 초래하여 효율을 저감시킴
- 모듈 당 소자 간 편차로 인한 모듈 간 입·출력 전압 이득, 소자의 전압·전류 스트레스 등 불평형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위상천이-시비율 제어를 수행함 (주파수 제어: LLC 공진형 컨버터의 전압/전류 제어 수행)
최종목표 ○ [연구개발 목표] 수소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철도차량용 병렬입력-직렬출력 구조의 고효율(97% 이상)·경량화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 개발
1) 실제모델(200kW급)기반 병렬입력-직렬출력 구조의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고효율·경량화 최적화설계 기술 개발
※ 목표 효율: 97%, 목표 부피: 부스트 컨버터 설계 대비 20% 절감
2) 병렬입력-직렬출력 구조를 갖는 다중 LLC 컨버터의 모듈 간 평형을 위한 주파수·시비율 혼합 제어 기술 개발
※ 모듈 당 목표 출력 오차: 5% 이내 만족
3) ‘설계 및 제어 기술 검증’을 위한 10kW급 축소형 시제품 제작 및 성능 검증
※ 목표 효율: 97%, 목표 부피: 부스트 컨버터 설계 대비 20% 절감, 모듈 당 목표 출력 오차: 5% 이내 만족
연구내용 및 범위 1)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최적설계기술 개발 및 고효율/경량화 성능 검증 (※ 목표 효율: 97%, 목표 부피: 부스트 컨버터 설계 대비 20% 절감)
? 대용량 승압형 DC-DC 컨버터 및 설계 관련 선행연구 사례조사
? ‘병렬입력-출력직렬 구조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이론적 분석
- 동작원리, 입·출력 전압 이득, 소자별 전압·전류 스트레스, 소자별 손실 등 이론적 분석
- 시뮬레이션을 통한 이론적 분석 검증
? 200kW급 실제모델기반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최적설계기술 연구
- 모듈개수 및 구동주파수별 부품단위 기본·상세 설계 및 시뮬레이션 검증
- 모듈개수 및 구동주파수별 효율 및 부피 비교를 통한 최적 모듈개수 및 구동주파수 선정
- 200kW급 실제모델기반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주요부품(스위치, 자성체, 커패시터 등) 상세 설계 및 손실 분석
? 200kW급 실제모델기반 기존/제안 컨버터의 효율 및 부피 비교
- 상세 설계 기반 200kW급 기존/제안 컨버터의 효율 및 부피 비교
? 1차 연도 200kW급 최적설계기술 연구기반 10kW급 축소형 기존/제안 컨버터의 상세 설계
- 10kW급 축소형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주요부품(스위치, 자성체, 커패시터 등) 상세 설계
- 10kW급 축소형 부스트 컨버터의 주요부품(스위치, 자성체, 커패시터 등) 상세 설계(비교군)
?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제작·성능검증
- 상세 설계 기반 10kW급 축소형 기존/제안 컨버터 주요부품(스위치, 자성체, 방열판, 구조물 등) 단위 제작
- 시제품 제작을 위한 주요부품 조립
? 10kW급 축소형 다중 LLC 컨버터의 설계 검증 시험을 통한 효율 및 부피 비교
- 10kW급 축소형 시험환경(입력소스, 부하, 효율측정기 등) 구축
- 10kW급 축소형 기존/제안 컨버터의 성능 평가 항목 도출
- 육안검사를 통한 제작시제품간 부피 비교·분석
- 효율측정을 통한 제작시제품간 효율 비교·분석
- 이론적 분석 기반 ‘예측 효율과 실제 측정 효율’ 간의 오차율 분석
- 축소형 제안 시제품 성능 평가 후 설계 기법 보완 사항 도출

2)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주파수/시비율 혼합 제어기술 개발 및 '모듈 간 평형' 성능 검증 (※ 모듈 당 목표 출력 오차: 5% 이내 만족)
? 소자편차에 따른 소자별 스트레스 및 모듈당 효율 차이 분석
? 소자편차에 따른 소자별 스트레스 및 모듈당 효율 차이 개선을 위한 제어기술 개발
- 소자별 스트레스 및 모듈당 효율 차이 개선을 위한 주파수/시비율 혼합 제어
- 소자편차에 따른 모듈당 출력 전압 평형 제어
- 모듈별 위상 제어를 통한 입·출력 전류 리플 저감 제어
? 시뮬레이션을 통한 (제안)제어 성능 검증
- 정전압 제어 알고리즘 개발
- 정전류 제어 알고리즘 개발
-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용 PSIM 시뮬레이션 구축
?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제어기 설계
- 전류·전압 센싱부 필터 주파수, 이득, 절연을 고려한 부품 선정 및 회로 설계
- 고성능 제어 기술 구현을 위한 MCU 선정 및 주변 회로 설계
?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제어기 제작·성능검증
- 10kW급 축소형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 제어기 제작
- 10kW급 축소형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입·출력 이득, 전압·전류 리플, 정적·동적 성능 검증
- (제안)제어기술 적용을 통한 소자편차에 따른 소자별 스트레스 및 모듈당 효율 차이 개선효과 검증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1) 실제모델(200kW급)기반 병렬입력-직렬출력 구조의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고효율·경량화 최적화설계 기술 개발
※ 목표 효율: 97%, 목표 부피: 부스트 컨버터 설계 대비 20% 절감
2) 병렬입력-직렬출력 구조를 갖는 다중 LLC 컨버터의 모듈 간 평형을 위한 주파수·시비율 혼합 제어 기술 개발
※ 모듈 당 목표 출력 오차: 5% 이내 만족
1)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최적설계기술 연구
? 대용량 승압형 DC-DC 컨버터 및 설계 관련 선행연구 사례조사
? ‘병렬입력-출력직렬 구조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이론적 분석
- 동작원리, 입·출력 전압 이득, 소자별 전압·전류 스트레스, 소자별 손실 등 이론적 분석
- 시뮬레이션을 통한 이론적 분석 검증
? 200kW급 실제모델기반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최적설계기술 연구
- 모듈개수 및 구동주파수별 부품단위 기본·상세 설계 및 시뮬레이션 검증
- 모듈개수 및 구동주파수별 효율 및 부피 비교를 통한 최적 모듈개수 및 구동주파수 선정
- 200kW급 실제모델기반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주요부품(스위치, 자성체, 커패시터 등) 상세 설계 및 손실 분석
? 200kW급 실제모델기반 기존/제안 컨버터의 효율 및 부피 비교
- 상세 설계 기반 200kW급 기존/제안 컨버터의 효율 및 부피 비교
2)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제어기술 연구
? 소자편차에 따른 소자별 스트레스 및 모듈당 효율 차이 분석
? 소자편차에 따른 소자별 스트레스 및 모듈당 효율 차이 개선을 위한 제어기술 개발
- 소자별 스트레스 및 모듈당 효율 차이 개선을 위한 주파수/시비율 혼합 제어
- 소자편차에 따른 모듈당 출력 전압 평형 제어
- 모듈별 위상 제어를 통한 입·출력 전류 리플 저감 제어
? 시뮬레이션을 통한 (제안)제어 성능 검증
- 정전압 제어 알고리즘 개발
- 정전류 제어 알고리즘 개발
-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용 PSIM 시뮬레이션 구축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기술적 측면
- 철도차량에 적용을 위한 대용량 수소연료전지용 추진전력변환장치의 설계 및 구축 기술 확보를 통한 국가 기술력 향상
- 장거리 운전을 위한 추진시스템 개발에 있어 차세대 반도체소자 적용에 대한 노하우 축적
- 고효율/경량화 추진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설계 기술 확보 및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함으로 고부가가치 철도시스템의 국내 및 국외 시장에 대한 기반 마련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경제적?산업적 측면
- 수소연료전지 활용증가에 따른 관련 부품산업 및 적용산업의 확장으로 신 시장 개척 및 고용창출
- 내연기관(가솔린 내연기관: 16%, 전기기관: 21%) 대비 높은 에너지효율을 갖는 수소에너지(수소연료전지: 36%) 활용 및 고효율 추진전력변환장치 개발로 인한 철도운영사의 에너지비용 절감
- 제안 추진전력변환장치(병렬입력-직렬출력 구조를 갖는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활용처 확산 및 국내 제작사의 해외진출을 통한 세계적으로 기술선도
-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동력원 기반 철도차량’ 적용을 위한 고효율 추진전력변환장치 기술 개발 및 선점을 통해, 해외 기술수출 및 친환경 하이브리드 철도차량 선도국가로 발돋움

○ 사회적 측면
- 친환경차량인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철도차량의 적용을 통해 CO2 최대 361,113 톤/년 저감
- 이동식 공기청정기로 효과로 인한 미세먼지 저감을 통한 공기질 향상
- 에너지의 해외의존도를 감소 및 에너지자립도 확보
-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철도차량 개발을 통해 수소에너지 활용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변화에 이바지하여 친환경국가로 시발점 역할기대
-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철도차량은 외부 전력공급이 없는 에너지독립형 차량으로 전철화되지 않은 구간에 쉽게 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중/소도시의 교통서비스 확대를 통한 국민의 삶의질 향상
- 철도인프라관련 사고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급전설비가 필요 없음에 따라 원인 원천제거에 따른 안전향상 및 철도레일 주변의 도시 미관 향상
- 대용량 수소연료전지 기술 적용 및 추진시스템 신기술 적용과 실차적용을 과정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 효과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한 ‘병렬입력-직렬출력 구조의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의 핵심 기술 확보 및 디젤기관차·경전철차량용 친환경 추진전력변환장치 적용을 위한 실용화 사업에 활용
○ 국내의 내구연한 도래 노후 디젤철도차량을 신재생에너지(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으로 대체 시 ‘병렬입력-직렬출력 구조의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 적용
1) 디젤기관차의 기대수명은 25년으로 현재 기대수명을 초과한 디젤기관차 26대가 운행 중에 있으며, 2022년 이후 92대의 디젤기관차가 추가적으로 기대수명을 초과할 예정임
2) 현재 국내 운행 중인 디젤기관차는 총 292대이며, 이 중 7000호대(233대)는 경유자동차 약 70만대에 맞먹는 오염물질을 배출함
○ 차세대 경전철차량의 핵심기술로 활용
1) 철도시스템 구축에 있어 인프라 구축 비용은 많은 부분을 차지하므로 비교적 인프라 구축 비용이 적은 경전철차량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용인경전철, 김해경전철, 의정부경전철 등이 운영되고 있음
2) 신재생에너지(수소연료전지 등) 철도차량은 전력 인프라 구축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인프라 구축 비용이 경전철차량에 비해 감소되며, 자연친화 철도로 활용가능하며, 비전철화 구간의 교통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편의성 증진에 기여함. 기존 경전철차량을 신재생에너지 철도차량으로 대체 시 ‘병렬입력-직렬출력 구조의 다중 LLC 공진형 컨버터’ 적용이 가능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 고효율·경량화 공진형 컨버터 다중모듈 구조 병렬입력-직렬출력 구조
영문 Hydrogen fuel cell hybrid railway vehicle High efficiency/high power density Resonant converter Multi module structure Parallel input ? series output structure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01. [서식] 최종보고서-20210621(일반과제).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